티스토리 뷰
다음 "다모아" 서비스를 만들면서 고민이 생겼다. "배포"... 걸림돌이었다.
Production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선 건너야 할 허들이 많았다.
"우리가 해야 할 배포 작업을 무언가 자동으로 해주면 좋지 않을까?" 라는 질문을 던졌고,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으로 옮기였다.
우리 팀에서 생각했던 고민은 전 세계 개발자들의 고민거리였던 것 같고,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었다.
여러 가지 Tip들이 있었지만 우리는 Gitlab runner 선택하였다.
** 우리 팀은 Source 관리가 Git으로 되고 있었고, 사내에서 Private Repo는 Gitlab을 사용하고 있었다.
참고! Gitlab Runner는 Gitlab CE/EE 9.0 이상을 만족 해야 한다. (https://docs.gitlab.com/runner/index.html#compatibility-chart)
1. Linux 64bit binaries 용 파일을 다운로드 (Linux x86-64)
sudo wget -O /usr/local/bin/gitlab-runner https://gitlab-runner-downloads.s3.amazonaws.com/latest/binaries/gitlab-runner-linux-amd64
2. Gitlab Runner에 실행 권한을 부여
sudo chmod +x /usr/local/bin/gitlab-runner
3. 계정을 생성
sudo useradd --comment 'GitLab Runner' --create-home gitlab-runner --shell /bin/bash
4. Gitlab Runner를 설치 및 시작
sudo gitlab-runner install --user=gitlab-runner --working-directory=/home/gitlab-runner
sudo gitlab-runner start
참고! 서버에 다른 유저 및 배포 계정이 부여 되어 있다면 초기 설치시 지정 해주면 된다.
예시)
sudo gitlab-runner install --user=test-user --working-directory=/home/test-user sudo gitlab-runner start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lab Runner 활용기 (3) (0) | 2018.03.11 |
---|---|
Gitlab Runner 활용기 (2) (0) | 2018.03.06 |
댓글